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PBR이란
    주식투자 Talk 2020. 9. 9. 14:03

     

     

    오늘은 PBR이란이라는 주제와 더불어 EV/EBITDA(이브이에비타)까지 함께 이야기해보려 한다.

     

    이 두 지표 역시 저평가주를 찾는 데 큰 도움이 된다.

     

    나는 예전 까지만 해도 PBR보다는 EPS와 PER 위주로만 고려 했었는데, 더 다양한 지표를 바탕으로 회사에 대해 세부적인 공부를 해 두면 좋을 것 같아, PBR도 앞으로 참고하기로 했다.

     

     

     

     

    여러 지표를 가지고 회사들을 분석하면 교집합 되는 종목이 몇 개 있을 것이고, 그 종목에 투자해두면 그만큼 수익성이 커질 것이라 본다.

     

     

     

     

    1.     PBR이란

     

    PBR이란 주가순자산비율을 뜻한다. 여기서 순자산은 재무제표상의 장부가치를 뜻하는데, 자산총액에서 부채총액을 뺀 것, 자본 총계(청산가치)를 가리킨다.

     

     

     

    전자공시시스템에서 삼성전자를 검색 후 최근 재무보고서를 들어가보자.

     

     

     

     

    연결재무제표를 클릭 후 재무상태표의 가장 하단을 보면 자본총계가 나와있다.

     

     

     

     

    전자공시시스템 이용법이 궁금하다면 클릭! -> https://world-4-u.tistory.com/3

     

    이전에 PER 구하는 법을 이야기할 때, 현재의 주가를 1년 후 예상 EPS로 나누면 된다고 했다. , PER은 수익성을 기준으로 주가를 판단하는 지표인데, PBR은 자본총계와 연관되어 있다.

    , 기업의 재무상태를 기준으로 현 주가를 판단하는 지표이며, PBR을 구하는 계산법은 아래와 같다.

     

     

     

    쉽게 이야기하자면, PBR1이라 했을 때 주가와 기업의 청산 가치가 같다는 의미이다. PBR 1 이하이면 주가가 그보다 못 미친다는 것을 뜻하므로, 현재 주가가 매우 저평가 되어 있다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과거 대비 PBR이 낮아지는 추세라면, 혹은 앞으로 예상되는 PBR이 하락세라면, 이 역시 좋은 매수 타이밍이 될 수 있을 것이다. 

     

     

     

     

     

    2.     PBR 찾는 법

     

    앞에서 계산법을 이야기했으나, PBR도 네이버 증권을 활용하면 모두 확인할 수 있는 지표이다.

    아래는 삼성전자의 기업실적분석 표이다.

     

     

     

     

    우리가 앞에서 다루었던, ROE, EPS, PER, 그리고 PBR까지 한 눈에 볼 수 있다.

     

    기업실적분석 아래에는 동일업종비교 표까지 있다. 각 지표를 비교해보면서 내가 투자 중인 혹은 앞으로 투자 예정인 종목이 어느 수준인지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까지 'PBR이란', 그리고 'PBR 찾는 법' 까지 알아보았다. 다음으로는 EV/EBITDA(이브이에비타)를 알아보겠다.

     

     

     

     

    3.     EV/EBITDA

     

    EV/EBITDA(이브이에비타)는 영업외적인 활동을 제외한, 순수 영업으로만 벌어들인 이익으로 기업 가치를 알아내는 지표이다.

     

    우선 EBITDA(에비타)의 계산법은 아래와 같다.

     

    EBITDA = 영업이익 + 감가상각비 등 비현금성 비용 + 제세금

     

    다음으로 EV(이브이)기업 가치'를 뜻하며, 계산법은 아래와 같다.

     

    EV = 시가총액 + 순차입금(총차입금-현금 및 투자유가증권)

     

     

    따라서 EV/EBITDA(이브이에비타)EVEBITDA로 나눈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이는 기업이 순수하게 영업활동으로 지금과 같이 수익을 낼 경우, 투자금액(EV : 기업가치)을 버는 데 얼만큼의 시간이 걸리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PER과 같이 그 수치가 낮으면 낮을수록 저평가 되어 있다고 보면 된다.

     

     

    4.     EV/EBITDA 찾는 법

     

    네이버 증권에서 삼성전자를 검색한 후 종목분석을 클릭하였다.

     

     

     

     

    스크롤을 아래로 내리면 펀더멘털이라는 표를 찾을 수 있다.

     

     

     

    2019년 대비 소폭 하락한 예상 EV/EBITDA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순수 영업활동만으로 작년 대비 더 빠르게 기업가치를 만들어낼 수 있는 기반이 다져졌다는 것을 의미한다.

     

     

    5.     Summary

     

    지금까지 여러 저평가주 찾는 지표 및 방법을 다루었는데, ROE, EPS, PER, PBR, 그리고 EV/EBITDA가 그것이다. 이 지표만 잘 활용해도 주식 투자를 하는 데에 큰 어려움은 없을 것이다.

     

    좀 더 확실하게 정리하자면,

     

    1)    ROE높을수록 좋다.

    2)    EPS는 향후 증가할수록 좋다.

    3)    PER낮을수록 좋다.

    4)    PBR낮을수록 좋다.

    5)    EV/EBITDA낮을수록 좋다.

     

    이렇게 볼 수 있다.

     

    각각의 지표에 대해 기본적인 개념이 궁금하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길 바란다.

     

    ROE-> https://world-4-u.tistory.com/13

    적정주가 계산법 -> https://world-4-u.tistory.com/12

     

     

    요즘은 정보를 찾는 것이 워낙 쉬워서, 네이버 증권 그리고 애널리스트 리포트만 봐도 나에게 필요한 수치를 모두 찾을 수 있다. 

     

    하지만 각 지표가 왜 낮을수록 좋은지, 왜 높을수록 좋은지는 최소한 이해하고 넘어가야 하기 때문에 꼭 한번씩 포스팅을 읽어보고 머릿속으로 확실하게 개념을 정리해두길 바란다.

    (계산법까지는 모르더라도...)

     

     

     

    '주식투자 Tal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장기투자종목  (2) 2020.09.11
    주식 차트 보는 방법  (0) 2020.09.10
    ROE란  (0) 2020.09.08
    적정주가 계산법  (0) 2020.09.07
    애널리스트란  (0) 2020.09.01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