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ROE란
    주식투자 Talk 2020. 9. 8. 10:46

     

    오늘은 ‘ROE이라는 주제로 이야기를 해볼까 한다.

    ROE자기자본이익률이라는 뜻으로, 기업이 자신들의 자기자본을 활용해 얼마나 이익을 잘 만들어내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라고 이해하면 쉽다.

     

     

     

     

    ROE는 저평가주를 찾는 데 도움이 되는 기준이다.

    어제 포스팅한 ‘EPSPER을 활용하여 적정주가를 계산하는 방법역시 저평가주를 고르는 아주 좋은 기준이므로, 함께 참고해보면 좋을 것 같다.

     

    적정주가 계산법 클릭 -> https://world-4-u.tistory.com/12

     

     

     

     

    1.     ROE

     

    서두에서 얘기했듯이, ROE자기자본이익률 이다. 만약 내가 100원짜리 집을 샀는데, 이 중 50원은 대출, 50원은 순수 내 현금이라면, 순수 내 현금인 50원만 자본에 해당된다. 하지만 집값 100원은 모두 자산이다.

     

     

     

     

     

    따라서 총 자산을 활용해 얼마나 사업을 잘 하느냐 보다는 자기자본으로 얼마나 사업을 잘 하고 있느냐가 더 중요하다.

    매출이 늘고 있는데, 빚도 같이 늘고 있다면 이는 빛 좋은 개살구 이기 때문이다.

     

     

     

     

     

    2.     ROE 계산법

     

    ROE는 아래와 같은 수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

     

    ROE(자기자본이익률) = (당기순이익 / 평균 자기자본) X 100

     

    (평균 자기자본은 전기 자기자본과 당기 자기자본의 합을 2로 나누면 된다.)

     

    이렇게 ROE를 계산하는 방법은 참고만 해두면 되고, HTS나 네이버 금융을 활용하면 쉽게 찾을 수 있다.

    네이버 금융에서 삼성전자를 검색해보았다.

     

     

     

    삼성전자 클릭 후 스크롤을 계속 내리다 보면, 기업실적분석이라는 표가 나오고, ROE를 찾을 수 있다.

     

     

     

     

    2017~2018년 보다 ROE가 떨어졌지만, 2019년 대비해서는 소폭 오를 예상이라 되어 있다.

    여기서 2021, 2022년의 예상 ROE까지 알 수 있다면 투자 판단하는 데에 더욱 도움이 될 것이다.

    향후 2~3년의 ROE는 애널리스트 리포트 등을 통해 더 자세히 찾는 게 가능할 것이다.

     

     

     

     

     

    ROE가 타사에 비해 높거나, 향후 ROE가 높아진다는 것은 기업의 가치가 올라갈 것을 의미하고, 이는 곧 주가 상승으로 이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향후 ROE가 낮아진다는 것은, 주가 하락을 의미하므로 매도 타이밍을 잡을 때 반드시 참고해야 한다.

     

     

     

     

    3.     적정 ROE?

     

    그렇다면 적정 ROE라는 게 있을까?

     

    적정 ROE라는 건 딱히 없지만, 높으면 높을수록 좋으며, 최소 은행 이자율 보다는 높아야 한다. 열심히 사업해서 이자율 이상 수익을 낸다는 의미이기 때문이다.

    수익을 많이 낼수록 배당을 할 확률이 높아지고, 배당을 하지 않더라도 기업 내에 다시 투자함으로써 기업 가치가 상승하기 때문이다.

     

     

     

     

    4.     주의점

     

    ROE가 왜 중요한 지 앞에서 설명했는데, 주의해야 할 점도 있다. 영업외수익 혹은 손실이 있는지 살펴봐야 한다. 일회성 수익 혹은 손실이라면 상관없지만, 지속적으로 발생 가능한 내용이라면 투자 판단에 참고해야 한다.

     

    또한, ROE는 바뀔 수 있다.

    예상 ROE라는 게 어디까지나 예측이므로, 사업 환경이 바뀌면 ROE가 좋아질 수도, 나빠질 수도 있으므로 자주 체크하는 게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ROE만 보는 것이 아니라 EPS, PER 도 함께 확인해야 한다.

     

     

     

     

    5.     Summary

     

    1)    ROE란 자기자본이익률이라는 뜻으로, 순수 내 자본으로 얼마나 수익을 잘 내는지를 보여주는 지표이다.

    2)    올해 예상, 내년, 내후년 ROE가 높아지는지, 낮아지는지를 확인해야 한다. ROE가 높아질수록 가치가 상승한다는 의미이며, 이는 곧 주가 상승을 의미한다.

    3)    ROE는 최소 은행 이자율 보다 높아야 한다.

    4)    예상 ROE는 언제든 바뀔 수 있다. 수시로 체크하는 것이 좋다.

    5)    ROE를 먼저 체크했다면, EPS, PER도 함께 중복으로 점검하여 저평가 되었는지, 고평가 되었는지 확인하고, 저평가된 종목을 선정한다.

     

    EPSPER에 대한 설명이 궁금하다면 클릭 -> https://world-4-u.tistory.com/12

     

     

     

     

    이렇게 ROE란이라는 주제로 저평가주를 고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무턱대고 접하는 카더라 통신에 의한 투자 보다는 기업에 대해 제대로 접근하고 투자하는 것이 소중한 내 자산을 지키는 방법이다.

     

    내일도 이어서 저평가주 고르는 방법을 이야기해보려 한다.

     

     

     

    '주식투자 Tal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차트 보는 방법  (0) 2020.09.10
    PBR이란  (0) 2020.09.09
    적정주가 계산법  (0) 2020.09.07
    애널리스트란  (0) 2020.09.01
    손절매 뜻  (0) 2020.08.24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