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손절매 뜻
    주식투자 Talk 2020. 8. 24. 23:02

     

    주식 투자를 할 때 매번 수익이 나면 얼마나 좋을까? 하지만 그러지 않을 때가 훨씬 많다.

    투자의 귀재 워렌 버핏도 손실을 보니까.

     

     

     

     

    내가 산 주식이 손실 나고 있을 때, 주가가 다시 오르기를 기다리며 버티는 것도 물론 중요하긴 하지만, 손실폭이 예상보다 커지고 있다면? 그리고 상황을 보아하니 가격이 상승할 기미가 전혀 보이지 않는다면?

    이럴 때 필요한 것이 바로 손절매.

     

    손절매는 더 큰 손실을 피하고 만회할 수 있는 기회를 가지기 위함이다.

    우선 손절매 뜻에 대해서 먼저 짚고 가보겠다.

     

     

     

     

    1.     손절매

    앞으로 주가가 더욱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고, 단기간에 가격상승이 보이지 않는 경우 가지고 있는 주식을 매입 가격 이하로 손해를 감수하고 파는 일을 말한다. 주로 신용거래에서 매입한 뒤 주가가 떨어져 손해를 보고 청산하는 경우를 말한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얼마 전 읽은 책에서 이런 내용을 보았다. 한 유명한 어느 미국인 투자자 이야기였는데, 자신의 투자 원칙은 단 하나라고 하였다. 손익이 -5%일 때 바로 매도한다는 것. 어떤 경우를 불문하고 말이다.

     

    주가가 떨어질 때 팔고 싶은 사람은 어느 누구도 없을 것이다. 그래서 소위 매입 평균 단가를 낮추기 위해 계속해서 추가 매수를 하거나, 심지어 신용 거래까지 하면서 매수하는 사람들도 꽤 있다.

     

     

     

     

    나는 주식 투자는 반드시 여유자금으로 해야 한다고 첫 포스팅에서 이야기한 바 있다. 주식이 나의 인생을 아주 크게 바꾸어 줄 거라는 헛된 믿음 때문에 가지고 있는 자산의 대부분을 주식에 몰빵하지 않았으면 한다.

     

     

     

     

    특히, 시장 상황이 더 안 좋아지는 것이 불 보듯 뻔할 때는, '손실이 얼마일 때 반드시 손절매 하겠다' 최소한의 원칙이 있어야 한다. 그래야만, 더 큰 손실을 막을 수 있고, 손실분을 만회할 수 있는 기회도 동시에 가지게 되는 것이다. 

     

    위에서 잠깐 예로 들었던 미국의 투자자도 손실에 대한 스트레스를 없애기 위해 마이너스 5%였을 때는 무조건 기계적으로 매도하겠다는 원칙을 세웠다고 한다. 

     

     

     

     

    2.     손절매의 중요성

    많은 사람들이 손실을 보고 주식을 매도하는 것에 대해 아깝다, 혹은 두렵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언젠가는 다시 오르겠지라는 마음에 버티고 버틴다. 하지만 위 손절매 뜻에서 기술했듯이, 손절매는 더 큰 손실을 막을 수 있는 리스크 관리이자 전략이다.

     

     

     

     

    나는 예전에 내가 잘 알지도 못하는 주식(누군가가 추천해줘서)을 샀다가 손실을 본 경험이 있다. 다행히 큰 돈을 들인 건 아니었지만, 원금 회복이라도 하고 싶어 아주 오랫동안 기다렸으나 결국 실패했다. 그때 받았던 스트레스가 정말 어마어마 했었다.

     

     

     

     

    손절매가 두려운 이유는,

    첫째, 내가 이 종목에 대한 확신이 없을 때

    둘째, 명확히 어느 시점에 손절을 해야 하는지 스스로 잘 모를 때, 즉 나만의 원칙이나 가이드라인이 없기 때문에

    라고 할 수 있다. 적어도 나의 경험에 의하면 말이다.  

     

    위에서 언급한 미국 투자자처럼 ‘매입가 대비 -5%’, 혹은 어떤 주식을 샀을 때 나만의 손절가를 미리 정해둔다면 그 가격대가 왔을 때 바로 손절해버림으로써 더 큰 심리적, 시간적 압박에서 벗어날 수 있다.

     

     

     

     

    단기적으로는 손실이 난 것처럼 보이겠지만,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는 수익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3.     손절매 원칙

    그럼 나만의 손절매 원칙을 한 번 공유해보고자 한다. 아래 내용을 참고하여 본인의 원칙을 세울 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한다.

     

     

     

    1)    매입 단가 대비 -6%일 때 손절매 한다.

    2)    전저점 지지에 실패하면 손절매 한다.

    3)    주도주가 꺾이면 관련주는 모두 손절매 한다.

    4)    외국인, 기관 모두 순매도세로 돌아서면 손절매 한다.

    5)    나스닥 선물지수가 급락하면 손절매 한다. (국내 증시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6)    국민연금이 비중을 줄이기 시작하면 손절매 한다. (국민연금의 지분 관련 공시 내용을 참고하며 매도해야 한다)

     

     

     

     

     

    지금까지 손절매 뜻, 손절매의 중요성, 그리고 나만의 손절매 원칙을 짧게 다루어 보았다.

    매번 포스팅을 하며 이야기하는 거지만, 이는 나의 케이스이기 때문에 모든 사람들에게 정답이 될 수는 없다.

     

    투자 스타일이 단기냐, 장기냐에 따라서도 손절매 기준 및 방법이 달라질 수 있고, 보유 현금, 포트폴리오 등에 따라서도 기준이 달라질 수 있으니, 여러 자료들을 공부하고 참고하여 투자 원칙을 만들어 가기를 바란다.

     

     

     

     

     

     

     

    '주식투자 Tal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정주가 계산법  (0) 2020.09.07
    애널리스트란  (0) 2020.09.01
    주식 투자 원칙  (3) 2020.08.21
    주식 초보자를 위한 공부  (0) 2020.08.19
    주식 매수 방법  (0) 2020.08.15

    댓글

Designed by Tistory.